728x90
B형·A형 간염 백신 접종 주기, 헷갈리셨다면 이 글로 정리 끝!
“간염 예방접종, 몇 번 맞았더라?”
“중간에 놓쳤는데 처음부터 다시 맞아야 하나요?”
많은 분들이 간염 예방주사 주기와 항체 형성 여부에 대해 궁금해하시죠.
오늘은 B형 간염 예방주사를 중심으로,
✅ 총 몇 번 맞아야 하는지
✅ 놓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간염 예방접종, 왜 중요한가요?
- B형 간염은 국내 감염률이 높은 질환으로
만성화되면 간경화,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출생 직후나 항체가 없는 성인은 반드시 접종이 권장돼요.
- 예방백신은 항체 형성을 통해 감염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B형 간염 예방접종 주기 (기본 스케줄)
접종 회차시점
1차 | 첫 방문일 (또는 출생 직후) |
2차 | 1차 접종 후 1개월 뒤 |
3차 | 1차 접종 후 6개월 뒤 |
✔️ 총 3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 이 주기를 0-1-6개월 스케줄이라고 불러요.
❗ 중간에 놓쳤을 땐 처음부터 다시 맞아야 하나요?
아니요!
👉 다시 처음부터 맞지 않아도 됩니다.
- 이전 접종 기록이 있다면, 그 시점부터 남은 횟수만 마저 맞으면 OK!
- 예: 1차만 맞고 1년 뒤 → 2차, 3차 이어서 맞아도 항체 형성 가능
- 단, 간격이 너무 길어진 경우 항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을 수도 있으므로
👉 접종 완료 후 항체 검사(혈액검사)로 확인하는 걸 추천해요.
💡 항체 형성 여부 확인 방법은?
- 접종 완료 1~2개월 후에 혈액 검사로 확인 가능
-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추가 접종(부스터 샷) 권장
- 특히 면역력이 약한 분, 만성 질환자, 간염 보균자 가족은 꼭 확인하는 게 좋아요
🧒 A형 간염 예방접종은 몇 번?
- A형 간염은 총 2회 접종
- 1차 접종 → 6~12개월 후 2차 접종
- 보통 12개월 이상 유아부터 가능, 성인도 항체 없으면 접종 가능
👥 이런 분들은 꼭 접종하세요!
- 항체 검사 결과 B형 간염 항체 없음
- 의료인, 간병인, 유치원·학교 종사자
- 가족 중 만성 B형 간염 보균자
- 수혈 경험자, 간 질환 병력 있는 사람
- 해외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특히 A형 간염 유행 지역)
✍️ 마무리하며
간염 예방접종은 어렵지 않습니다.
✔️ B형은 3회
✔️ A형은 2회
그것만 기억해도 충분해요.
중간에 놓쳤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맞지 않아도 되고,
남은 회차만 제대로 마무리하면 항체 형성 가능하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특히 출생 직후 예방접종 기록이 없거나,
성인이 되어 항체 유무를 모르겠다면
지금이라도 확인해보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
728x90
'건강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당뇨 초기, 이런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13) | 2025.04.01 |
---|---|
🍟 기름진 음식, 먹을 땐 맛있지만, 나중엔 속이 괴로운 이유! (6) | 2025.03.31 |
🧠 치매, 예방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5) | 2025.03.28 |
🌫 미세먼지 많은 날, 목이 따갑고 아픈 이유는? (5) | 2025.03.28 |
🔥 속쓰림 완화에 좋은 음식 vs 피해야 할 음식 (10) | 2025.03.28 |